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미국 증시 휴장일 완벽 가이드

    2025 휴장·조기폐장 캘린더

    구분 날짜(2025) 특징
    신정 1 월 1 일(수) 연초 유동성 최소, 달러 인덱스 방향성 주시
    마틴 루터 킹 데이 1 월 20 일(월) 3일 연휴 후 금리 기대치 재조정
    대통령의 날 2 월 17 일(월) 국채 옥션 수급 공백
    성금요일 4 월 18 일(금) 지수선물·옵션만 축소 거래
    메모리얼 데이 5 월 26 일(월) ‘Sell in May’ 막바지 변동성 주의
    준틴스 6 월 19 일(목) 연준 의사록 발표 주와 겹치면 변동성 ↑
    독립기념일 7 월 4 일(금) → 前 日 13시 조기폐장 고용지표(1 주 금)와 동시 발표 시 주가 급등락
    노동절 9 월 1 일(월) 하반기 랠리의 ‘스타터 피스’
    추수감사절 11 월 27 일(목) → 다음날 13시 조기폐장 블랙프라이데이 소비 데이터 반영
    크리스마스 12 월 25 일(목) → 前 日 13시 조기폐장 ‘산타 랠리’ 기대·실망 변수

    ※ 전·현직 대통령 국장 등 국가 애도일에는 임시 휴장이 발표될 수 있습니다.
    ※ 조기폐장일은 뉴욕 현지 13:00(ET) 마감. ​
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휴장 전후 시장 패턴 3가지

    1. 거래량 급감 & 스프레드 확대
      • 활황장이라도 거래 대기 물량 축소 → 스프레드 15~30 bp 벌어짐. 특히 중소형·저유동 종목은 갭 변동 리스크 확대. ​
    2. 정보 반영 지연에 따른 ‘첫 거래일 갭’
      • 휴일 동안 누적된 실적·매크로 뉴스가 개장일 전장(09:30~10:30 ET) 1시간 내 일제히 가격 반영 → 알파·베타 노출 전략 병행 필요. ​
    3. 국내외 연동성 약화
      • S&P 500 선물이 정상 거래돼도 현물 부재로 코스피·DAX 등은 방향성 엇갈림. 휴장 전후 KOSPI 200 선물‑S&P 500 선물 상관계수 평균 0.72→0.48로 하락(20–21년 평균). ​


    전문가의 체크리스트 & 포트폴리오 팁

    ① 포지션 조정

    • 휴장 2 거래일 전까지 이익실현·리밸런싱
    • 변동성 확대로 스톱로스 터치 확률↑ → 현금비중 5~10%p 확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② 헤지 전략

    • 은행 휴무일에도 거래되는 FX·크립토 활용
    • S&P 500 미니선물(E‑mini/마이크로) 로 현물 리스크 델타‑중립화

    ③ 이벤트 드리븐 플레이

    • 추수감사절 → 블랙프라이데이: 전자상거래·결제주 단기 스윙
    • 독립기념일: 국방·레저·맥주 소비주 옵션 프리미엄 확대


    자주 묻는 Q&A

    Q. 성금요일 미국 휴장일엔 나스닥 선물도 멈추나요?
    A. CME 전자거래는 09:00 ET 조기 종료, 1 시간 서킷 브레이크 없이 재개 없습니다.

    Q. 조기폐장일 13시 이후에도 OTC 거래가 가능한가요?
    A. 브로커·다크풀마다 상이하지만 법적으론 가능. 유동성 희박해 스프레드 5배 이상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